MVP(Minimum Viable Product)의 개념
1. 개념
- 핵심 기능만 가진 초기 버전의 제품
2. 목적
- 빠르게 사용자의 반응을 얻어서 시장성을 판단하기 위함
3. 장점
- 적은 비용과 짧은 시간으로 "이 아이디어/기능이 정말 필요로 되는가?"를 확인 가능
- 실패했을 때의 리스크를 최소화(Fail Fast)할 수 있음
4. 핵심
- 빠르게 시장 반응을 볼 수 있다
- 적은 비용으로 실험할 수 있다
- 실패해도 리스크가 적다
⭐️ MVP를 출시하는 것은 단순히 빠르게 출시하는 것이 목표가 아니라, 초기 제품을 통해 학습하고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데 초점
PMF(Product-Market Fit)의 개념
1. 개념
- 제품이 시장(사용자) 니즈와 완벽하게 맞아떨어져 시장이 제품/서비스에 대한 확실한 수요를 보여 주는 상태
2. 목적
- 시장이나 사용자들이 "이 제품 없이는 못살겠어" 할 정도로 높은 가치를 느끼고 자발적으로 사용/재구매/추천하는지 확인
3. PMF 근거
🚀 이제 본격적으로 스케일업(확장)해도 된다
- 유의미한 규모의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찾아온다
- 재방문율/유료 전환율이 급격히 증가한다
- 추천(NPS) 지표가 높아진다
- 시장에서 제품/서비스에 대한 확실한 수요를 보여 준다
MVP와 PMF
1. 차이점
- MVP 검증이 가능성을 확인한 단계라면, PMF는 그 가정성이 시장성으로 자리잡았음을 보여 주는 단계
MVP를 검증했다 | PMF를 찾았다 |
'아이디어와 제품의 초기 가설이 어느 정도 맞는지'를 빠르게 실험 | '최소한의 검증 단계를 넘어, 시장이 분명이 원하는 제품이 되었다' |
☑️ "이 아이디어, 시장에 통할 가능성이 있나?" ☑️ "사람들이기능이나 서비스를 진짜 필요로 할까?" ☑️ "일단 빠르게 실험해서 가능성을 확인해 보자" |
☑️ 사용자들이 자발적으로 계속 찾고, 쓰고, 추천하는 상태 ☑️ "이제 이거 없으면 안 돼"라는 반응 |
- MVP 검증 → 지속적인 지표 개선 → PMF 달성
2. MVP 검증을 통한 PMF 탐색
- MVP 검증 → 여러 번의 실험과 개선 → 확실한 시장 반응이 쌓인다면 PMF를 찾았다고 할 수 있음
- 필요 내용
- 여러 번의 MVP 검증
- 처음에는 소수의 사용자만 검증
- 이후 더 큰 사용자 풀에서 테스트하고, 추가 기능도 실험하며 검증 반복
- 검증 후 피벗(Pivot) 가능성
- 시장 반응이 예상과 다를 때 새로운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어야 함
- 여러 번의 MVP 검증
3. MVP 검증에서의 PM의 역량
- 고객의 문제를 정의하고 솔루션을 도출하는 능력 (문제 정의 → 가설 설정 → MVP 실험 → 피드백 반영)
-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품을 개선하는 능력
- 효율적인 프로젝트 관리 능력 (불필요한 개발 줄이기)
- 빠른 실험과 개선 경험 (빠른 가설 수립과 피드백 반영)
'PM 트랙_강의 > MVP 기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VP 검증 계획 (2) - 사용자 모집, 테스트 진행과 결과 분석 (1) | 2025.02.17 |
---|---|
MVP 검증 계획 (1-2) - 핵심 지표 정의 (0) | 2025.02.14 |
MVP 검증 계획 (1-1) - 목표&가설 수립, 타겟 선정, 테스트 방법 (0) | 2025.02.1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