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M 트랙_강의/MVP 기획

MVP 검증 계획 (2) - 사용자 모집, 테스트 진행과 결과 분석

은하_carol 2025. 2. 17. 21:20

출처: https://asoworld.com/kr/blog/app-user-acquisition-strategy-how-does-affiliate-marketing-help-your-win-more-user/

1. 사용자 모집의 개념

  • PM제품의 비전과 목표를 가장 잘 이해하고 있으므로, 이를 고려한 적합한 사용자 그룹을 결정하고, 모집하는 역할 수행
  • 어디에 타겟 고객이 모여 있을지를 고민하며, 제품에 가장 적합한 방식 모색

 

2. 사용자 모집의 종류

  • 유저가 될 만한 사람들에게 직접 컨택
    • 오랜 시간 소요
    • 유저의 반응과 피드백을 가까이서 접할 수 있음
    • 예)
      • [패션 SNS 온더룩] 한명한명에게 DM을 보내 공급자를 데려오는 사이클 1만 번 반복
      • [20대 네트워킹 앱 클럽트웬티] 앱 사용 시 무료 제안을 대학교 축제에서 실행
  • 커뮤니티 + SNS 바이럴
    • 저비용으로 빠르게 확산 가능
    • 바이럴이 될 만한 요소를 미리 생각해야 하고, 바이럴 되는 것 자체가 어려움
    • 적절한 커뮤니티에 자연스럽게 침투 필요
    • 예)
      • [다이어트 앱 인아웃] 키토제닉 하는 사람들이 모인 네이버 카페에 서비스 안내
      • [AI 아바타 서비스] 프로덕트 헌트에 제품 올리고, SNS와 각종 커뮤니티에 홍보
      • [알뜰폰 요금제를 모아보는 모요] 다양한 온라인 커뮤니티 홍보를 통한 입소문
  • 타겟이 관심 있을 만한 리워드 지급
    • 리워드가 과도한 유인책이 되지 않도록 유의
    • 사용자의 진정한 관심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함
    • 예) [릴리스 AI] 오픈 AI 데브 데이 종류 후 요약노트 공유로 인한 바이럴과 Y콤비네이터 영상 요약 번역으로 웨이팅 유저 확보
  • 콘텐츠 마케팅
    • 단기적 참여만 유도하고 구매나 사용으로 이어지지 않으면 무의미하므로, 전환율 함께 추적
    • 종류
      • 숏폼(비디오) 콘텐츠: 주목도/유입을 높여 인지도 상승에 효과적이나, 휘발성이 강함
      • 롱폼(텍스트) 콘텐츠: 검색을 통해 접하므로 SEO(검색 최적화)에 강점이 있고, 한 번 만들어 두면 장기적으로 사용자 유입 가능
      • 예) [AI 기반 논문 작성 서비스 JENNY AI] 학생 인플루언서 섭외 후 함께 숏폼 제작
  • 퍼스널 브랜딩 된 개인 채널
    • 개인 채널 팔로워들제품의 타겟 군과 유사한지 확인 필요
    • 퍼스널 브랜딩 된 채널이 이미 있어야 한다는 한계 존재
    • 예) [개발자 혼자 사이드 프로젝트 3개 대성공 후기] 비공개 인스타그램에 프로젝트 알린 후, 링크드인과 개인 SNS에 순차적 홍보
  • 입소문이 날 수 있는 추천/초대 장치
    • 입소문을 통해 자연스러운 네트워크 효과
    • 유저의 참여 유도 필요
    • 예) [노션] 회원 가입을 초대받아야만 할 수 있게 하여 입소문을 퍼뜨리도록 의도적 장치 제공

 

3. 테스트 진행

  • 홍보 채널에 서비스를 홍보하고 테스트하는 과정 중 할 일
    • 즉각적인 데이터 분석과 대응
    • 사용자 인터뷰를 통한 서비스의 문제점과 개선점 파악
    • 실시간 지표 모니터링을 통해 잘 수집되고 있는지, 가설을 검증할 수 있을 정도의 모수인지, 어느 쪽으로 흘러가는지 관찰
  • 사용자 인터뷰의 정도
    • 인터뷰 답변의 80%가 이미 이전에 나온 답변일 때까지 진행
    • 초기의 다양한 의견들이 시간이 지날수록 반복

 

4. 결과 분석

  • 결과 분석 시 주의사항
    • 편향된 분석을 하지 말 것
      • 설문조사나 피드백에서 나온 고객의 의도와 실제 행동은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, 고객의 실제 행동 기반 분석 진행
      • 설문조사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면, 실제로 행동으로 이어지는지 확인하고, 더 많은 행동 데이터 수집 필요
        • 예) "좋아요"가 실제 구매로 이어지지 않을 가능성 존재
    • MVP 테스트에서 나온 결과가 단기적일 수 있다는 점 기억할 것
      • 긍정적인 단기 지표가 장기적인 성공이나 지속 가능한 성장을 보장하지 않음
      • MVP 검증 후, 단기적인 피드백을 기반으로 제품을 개선하고, 그 결과를 바탕으로 장기적인 지표를 후속 실험에서 검토해 나가는 방식이 적합
  • 최종적으로 가설과 다른 결과가 나오는 경우
    • 성공적으로 검증된 경우
      • 기능 추가 및 개발, 투자 유치, 마케팅 확장 등 스케일업
    • 검증 결과가 예상과 다른 경우
      • 사용자 피드백을 통해 문제의 원인을 분석하여 제품 수정이나 기능 개선 고려
      • 가설, 타겟, 기능 등을 수정 후 재검증
      • 피벗팅(pivoting) 고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