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M 트랙_강의/MVP 기획 4

MVP 검증 계획 (2) - 사용자 모집, 테스트 진행과 결과 분석

1. 사용자 모집의 개념PM은 제품의 비전과 목표를 가장 잘 이해하고 있으므로, 이를 고려한 적합한 사용자 그룹을 결정하고, 모집하는 역할 수행어디에 타겟 고객이 모여 있을지를 고민하며, 제품에 가장 적합한 방식 모색 2. 사용자 모집의 종류유저가 될 만한 사람들에게 직접 컨택오랜 시간 소요유저의 반응과 피드백을 가까이서 접할 수 있음예)[패션 SNS 온더룩] 한명한명에게 DM을 보내 공급자를 데려오는 사이클 1만 번 반복[20대 네트워킹 앱 클럽트웬티] 앱 사용 시 무료 제안을 대학교 축제에서 실행커뮤니티 + SNS 바이럴저비용으로 빠르게 확산 가능바이럴이 될 만한 요소를 미리 생각해야 하고, 바이럴 되는 것 자체가 어려움적절한 커뮤니티에 자연스럽게 침투 필요예)[다이어트 앱 인아웃] 키토제닉 하는 사..

MVP 검증 계획 (1-2) - 핵심 지표 정의

1. 핵심 지표 정의핵심 지표는 MVP가 성공했는지, 실패했는지 판단하는 명확한 기준초기 MVP 검증 단계에서는 핵심 지표 1~2개에 집중해서 가설을 빠르게 검증하는 것이 중요가설 검증 이후, 다양한 지표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며 비즈니스 모델을 확장하는 방식이 효과적목표, 사용자, 검증하려는 가설에 따라 핵심 지표는 달라짐 2. 핵심 지표 종류리텐션개념: 우리 고객이 제품에 재방문하는 단계중요한 이유서비스의 가치 전달리텐션이 높다는 것은 서비스 가치를 느끼고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고객들이 많다라는 것을 의미제품의 장기적 가치와 비즈니스 지속 가능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리텐션이 유지되면 PMF를 찾았다고 판단 가능기존 고객의 재구매 비용기존 고객의 재구매 유도는 신규 고객 확보보다 최대 25배 더 저렴이..

MVP 검증 계획 (1-1) - 목표&가설 수립, 타겟 선정, 테스트 방법

MVP 검증 계획 단계[계획 설계 단계]1. 목표 & 가설 수립   "이 실험을 통해 뭘 검증할 것인가?"2. 타겟 선정   "누구를 대상으로 실험할 것인가?"3. 테스트 방법 결정   "어떤 방식으로 실험할 것인가?"4. 핵심 지표 정의   "성공/실패 기준을 어떻게 정할 것인가?"5. 사용자 모집   "어떻게 초기 사용자를 확보할 것인가?"6. 테스트 진행   "실제로 검증을 어떻게 실행할 것인가?"7. 결과 분석   "결과를 보고 어떤 액션을 취할 것인가?"1. 목표 & 가설 수립문제를 명확하게 정의하고, 해결할 수 있는 목표를 설정한 뒤, 그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는 예측을 실험 가능한 형태로 정리한 것"만약 ~하면, ~할 것이다."의 형태가설을 구체적으로 설정하면,어떤 실험을 해야 할지..

MVP(Minimum Viable Product) 검증과 PMF(Product-Market Fit)

MVP(Minimum Viable Product)의 개념1. 개념핵심 기능만 가진 초기 버전의 제품2. 목적빠르게 사용자의 반응을 얻어서 시장성을 판단하기 위함3. 장점적은 비용과 짧은 시간으로 "이 아이디어/기능이 정말 필요로 되는가?"를 확인 가능실패했을 때의 리스크를 최소화(Fail Fast)할 수 있음4. 핵심빠르게 시장 반응을 볼 수 있다적은 비용으로 실험할 수 있다실패해도 리스크가 적다⭐️ MVP를 출시하는 것은 단순히 빠르게 출시하는 것이 목표가 아니라, 초기 제품을 통해 학습하고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데 초점 PMF(Product-Market Fit)의 개념1. 개념제품이 시장(사용자) 니즈와 완벽하게 맞아떨어져 시장이 제품/서비스에 대한 확실한 수요를 보여 주는 상태2. 목적시장이나 사용자..